개와 고양이에서 강아지풀(foxtail) 이물 반응
Kendon Kuo, DVM, MS, DACVECC, Auburn University 연구 개와 고양이에서 강아지풀 이물은 국소적 자극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회고적 연구는 미국의 한 대학 교육 병원에 10년 동안 내원한 강아지풀 이물 병변을 가진 개(n = 754)와 고양이 (n = 37)의 임상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 치료, 그리고 예후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강아지풀 이물의 확진 사례는 신체 검사, 내시경 검사, 수술 탐색, 또는 조직병리학을 통해 직접 관찰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여름철에 내원하였 습니다. 개에서는 이관(28.6%), 비관(18%), 그리고 다양한 피부 및 피하 부위(26.7%)에서 강아지풀 이물을 발견하였으며, 그중 ..
2023. 9. 30.
Pain Management for Gastrointestinal Conditions - Clinician's Breif
위장관 (GI) 질환은 가장 흔히 내원하는 사유입니다. 기본적이거나 이차적인 GI 질환은 모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염증과 자가소화를 동반하는 췌장염, 바이러스성 질환 (예: 파보바이러스)이나 다른 원인에 의한 장폐색, 대장염으로 인한 경련, 폐색으로 인한 팽만 등이 있습니다. 개와 고양이에서 복통의 임상 증상은 미묘하고 쉽게 놓칠 수 있지만, 환자가 통증을 겪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심이 있다면, 치료를 시작하고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진통처치는 상태 관리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진통제는 췌장염과 위확장염전증 (GDV) 환자에서 표준 치료로 간주되지만, 폐색, 장폐색( ileus), 염증 등의 환자에서는 통증 관리가 쉽게 시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복통..
2023.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