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don Kuo, DVM, MS, DACVECC, Auburn University
연구
개와 고양이에서 강아지풀 이물은 국소적 자극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회고적 연구는 미국의 한 대학 교육 병원에 10년 동안 내원한 강아지풀 이물 병변을 가진 개(n = 754)와 고양이
(n = 37)의 임상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 치료, 그리고 예후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강아지풀 이물의 확진 사례는 신체
검사, 내시경 검사, 수술 탐색, 또는 조직병리학을 통해 직접 관찰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여름철에 내원하였
습니다.
개에서는 이관(28.6%), 비관(18%), 그리고 다양한 피부 및 피하 부위(26.7%)에서 강아지풀 이물을 발견하였으며,
그중 47.3%는 발가락 사이였습니다. 고양이에서는 강아지풀 이물이 가장 흔하게 안과 부위(81%)에서 발견되었으나,
중추신경계, 흉강, 그리고 비뇨생식계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86.1%)는 강아지풀 이물과 관련된 임상 증상(예: 머리 흔들기, 배액로(draining tract), 지속적인 재채기 등)을 보였으며, 11.9%의 강아지풀 이물은 우연히 발견되었다. 임상 증상은 강아지풀 이물의 위치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구체성과 심각도는 다양합니다.
영상 검사에는 현장 초음파(POCUS), 전문가 인증 방사선과 의사가 감독하는 초음파 검사, 방사선 촬영, CT, MRI가 포함되었습니다. POCUS는 환자의 35%(20/7)에서 강아지풀 이물을 성공적으로 시각화했으며, 방사선과 의사가 감독하는 초음파 검사는 환자의 72.8%(114/83)에서 성공했습니다. 방사선 촬영에서는 개의 69.2%(52/36)에서 강아지풀 이물과 관련된 병변이 관찰되었습니다. CT는 의심되는 내강성 이동과 관련된 병변을 가진 개 78마리 중 100%에서 병변을 확인했지만, 이들 개 중 15.4%에서만 강아지풀 이물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84개의 분리체에 대한 배양 및 감수성 검사를 80명의 환자에서 수행하여 120개의 혐기성 및 110개의 호기성 세균 분리체를 확인하였습니다. 복합균 증식은 흔했습니다.(67.9%)
치료는 외래(77.1%)와 입원(22.9%)으로 이루어 졌습니다. 거의 모든 개(99.5%)와 고양이(94.6%)는 퇴원 시 생존하였습니다.
핵심 요약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주요 요약
임상 증상은 일반적으로 강아지풀 이물의 위치를 반영하지만, 강아지풀 이물에 의한 손상은 미묘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44.4%의 환자가 구강내 강아지풀 이물질에 대한 특정한 임상 증상이 없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표면적인 강아지풀 이물질의 진단과 제거에 유용하지만, 시각화의 성공률에 경험과 교육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복잡한 경우에는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로람페니콜 또는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은 강아지풀 이물질과 관련된 감염에 적절한 경험적 선택입니다.
주인은 핀셋으로 표면적인 강아지풀 이물질을 집어내려고 할 수 있지만, 깊이 박히거나 발적, 부기, 분비물이 있는 강아지풀 이물질은 전문가에게 평가받아야 합니다. 강아지풀 이물질의 불완전한 제거는 추가적인 이동과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여름에 발생하지만, 개에서 강아지풀 이물과 관련된 질병은 연중 가능합니다. 애완동물 주인은 풀밭을 피하고, 정기적인 미용, 보호용 메시 후드 사용, 그리고 애완동물의 강아지풀 이물질 검사를 자주 함으로써 강아지풀 이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공 > Clinicain's Brief newle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만성 신부전증에서 요독소 : 신경써야 하는 이유 (2) | 2023.12.24 |
---|---|
급성 출혈성 설사 증후군 (Acute Hemorrhagic Diarrhea Syndrome) (0) | 2023.09.30 |
울혈성 심부전 치료에 대한 오해와 사실 (2) | 2023.09.17 |
Risk Factors for Peripheral IV Catheter Complications (0) | 2023.09.14 |
Fuzapladib : 수의학용으로 사용가능한 개의 급성췌장염에 관한 새로운 치료제 (0) | 2023.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