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nsored by Ceva Animal Health, LLC
점액종성 이첨판막 질환 (MMVD)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CHF)은 많은 수의사들이 진단하는 흔한 질병이며,
최신 치료 옵션과 가이드라인을 이해하는 것은 가능한 최고의 환자 관리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심장병 전문의를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MMVD의 관리는 종종 일반 진료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MMVD를 치료할 때는 언제 치료를 시작할지와 어떤 약물이 가장 큰 효과를 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동반
되기도 한다. 다음은 MMVD의 의학적 치료에 대한 흔한 오해이다.
오해 #1: MMVD가 있는 개는 CHF의 심각하고 지속적인 증상이 없는 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2019년 ACVIM에서 발표한 개의 MMVD 진단 및 치료에 관한 합의 지침에 따르면, 현재 또는 과거에 CHF
증상이 있었던 환자를 포함하여 B2 단계 이상의 MMVD가 있는 모든 개는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경미한 임상 증상은
치료 부족을 정당화하지 않으며, 이전 임상 증상의 호전도 마찬가지이다. 실제로, 이 지침은 표준 치료로 임상 증상이
개선되거나 완전히 사라진 후에도 수술로 판막이 수리되지 않는 한 환자는 계속 C 단계로 분류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해 #2: 개의 CHF 치료에 필요한 유일한 약물은 피모벤단, 퓨로세마이드, 그리고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이다.
피모벤단, 퓨로세마이드, 그리고 ACE 억제제 외에도 ACVIM 가이드라인은 스피로놀락톤의 사용을 권장한다.
ACE 억제제만으로는 알도스테론 생산을 차단할 수 없다. 안지오텐신 II는 다른 경로를 통해 생성되기 때문에
ACE 억제제는 모든 알도스테론 생산을 막지 못한다. 스피로놀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 항체로서 심장 섬유화,
교감신경계 활성화, 그리고 알도스테론의 기타 유해한 영향을 방지한다.
오해 #3: CHF가 있는 개의 주인은 개가 치료받을 수 있도록 무엇이든 할 의향이 있다.
CHF가 있는 개 96마리의 주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0.2%의 주인은 하루에 3개 이상의 약을 신뢰할
수 있게 투여할 수 없다고 답했다. 또한, 47.9%의 주인은 하루에 2개 이상의 약을 신뢰할 수 있게 투여할 수
없다고 답했다. 가능한 경우 약을 결합하는 것, 예를 들어 베나제프릴과 스피로놀락톤을 하루에 한 번 씹어
먹는 정제(CARDALIS™)로 결합하는 것은 고객들이 복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오해 #4: CARDALIS™에 들어 있는 스피로놀락톤과 베나제프릴의 복합 성분을 가진 새로운 약물을 추가하면
치료 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스피로놀락톤에 대한 권장 모니터링은 퓨로세마이드와 다른 심장 약물에 필요한 모니터링과 유사하며,
수의사는 치료를 시작하기 전과 치료 기간 동안 신기능과 혈청 칼륨 수준을 평가해야 한다. 베나제프릴과
스피로놀락톤을 퓨로세마이드와 함께 사용하는 것과 베나제프릴만 퓨로세마이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비교한
연구에서, 두 그룹 간에 부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피로놀락톤의 추가가 부작용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오해 #5: CARDALIS™는 다양한 임상 상태를 가진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MMVD로 인한 CHF를 가진 대부분의 개는 CARDALIS™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CARDALIS™는 부신 기능 저하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그리고 ACE 억제제나 스피로놀락톤에
알레르기가 있는 개에게는 피해야 한다. 또한 신기능 저하증이 있는 개에게는 CARDALIS™와 NSAIDs를
동시에 투여하지 않아야 한다.
결론
2021년 MMVD에 의한 CHF 환자 569 case를 연구한 결과 베나제프릴과 스피로놀락톤을 퓨로세마이드와
혼합해서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베나제프릴과 퓨로세마이드만을 혼합한 것보다 우수하다고
밝혀졌다. 같은 연구에서 베나제프릴과 스피로놀락톤 합제 (CARDALIS™)가 심장병의 사망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360.5 일까지는 27% 까지 심장병의 악화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ARDALIS™ 는 통계적으로 심각한 부작용 없이 임상적인 이익을 MMVD에 의한 CHF 환자에게 제공한다
'전공 > Clinicain's Brief newle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출혈성 설사 증후군 (Acute Hemorrhagic Diarrhea Syndrome) (0) | 2023.09.30 |
---|---|
개와 고양이에서 강아지풀(foxtail) 이물 반응 (0) | 2023.09.30 |
Risk Factors for Peripheral IV Catheter Complications (0) | 2023.09.14 |
Fuzapladib : 수의학용으로 사용가능한 개의 급성췌장염에 관한 새로운 치료제 (0) | 2023.09.09 |
요로 폐색이 있는 고양이에서 고칼륨혈증 치료 - Clinician Brief 요약 (0) | 2023.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