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

급성 출혈성 설사 증후군 (Acute Hemorrhagic Diarrhea Syndrome) Amanda A. Cavanagh, DVM, DACVECC, Colorado State University 급성 출혈성 설사 증후군(AHDS)은 이전에는 출혈성 위장염(HGE)이라고 불렸으며, 심한 출혈성 설사와 구토를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질환입니다. AHDS는 보통 젊거나 중년의 소형견에 영향을 미치며, 조기에 공격적인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혈관계 허탈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적절한 증상 치료를 하면 회복이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집니다. 영향을 받은 개의 내시경 검사에서는 많은 환자에서 구토와 혈토가 높은 발생률에도 불구하고 위의 거시적이거나 조직학적인 병변이 없습니다. 그러나 조직학적으로는 소장과 대장의 심한 응고성 괴사가 있으며, 이러한 소견에 따라 HGE는 AHDS로 이름이 .. 2023. 9. 30.
개와 고양이에서 강아지풀(foxtail) 이물 반응 Kendon Kuo, DVM, MS, DACVECC, Auburn University 연구 개와 고양이에서 강아지풀 이물은 국소적 자극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회고적 연구는 미국의 한 대학 교육 병원에 10년 동안 내원한 강아지풀 이물 병변을 가진 개(n = 754)와 고양이 (n = 37)의 임상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 치료, 그리고 예후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강아지풀 이물의 확진 사례는 신체 검사, 내시경 검사, 수술 탐색, 또는 조직병리학을 통해 직접 관찰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여름철에 내원하였 습니다. 개에서는 이관(28.6%), 비관(18%), 그리고 다양한 피부 및 피하 부위(26.7%)에서 강아지풀 이물을 발견하였으며, 그중 .. 2023. 9. 30.
북한산 백운대 비온 뒤 멋진 하늘 - 최단 코스로 오르기 북한산 정상 백운대를 오르는 최단 코스는 백운대 탐방지원센터에서 시작하는 코스입니다. 백운대 탐방지원센터 앞에 주차장이 있습니다. 크지는 않지만 오전에 일찍 가면 충분히 주차 가능합니다. 요금은 무료입니다. 탐방지원센터 옆에 깨끗한 화장실도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 시는 지하철 우이신설선 우이역에서 내려서 도보로 올라와야 합니다. 거리는 약 2.4 km 도보로 약 40-50분 정도 걸리므로 택시로 올라오기도 합니다. 백운대 탐방지원센터에서 백운대 까지는 약 1.9 km / 편도 1시간 30분 코스입니다. 북한산 탐방지원센터에 주차를 하면 바로 앞에 등산로 입구가 있습니다. 길은 단순하며 하루재, 인수암, 백운산장, 북한산 암문을 지나 백운대 정상까지 가는 코스입니다. 산행 초반부터 잘 만들어진 돌길을 .. 2023. 9. 22.
울혈성 심부전 치료에 대한 오해와 사실 Sponsored by Ceva Animal Health, LLC 점액종성 이첨판막 질환 (MMVD)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CHF)은 많은 수의사들이 진단하는 흔한 질병이며, 최신 치료 옵션과 가이드라인을 이해하는 것은 가능한 최고의 환자 관리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심장병 전문의를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MMVD의 관리는 종종 일반 진료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MMVD를 치료할 때는 언제 치료를 시작할지와 어떤 약물이 가장 큰 효과를 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동반 되기도 한다. 다음은 MMVD의 의학적 치료에 대한 흔한 오해이다. 오해 #1: MMVD가 있는 개는 CHF의 심각하고 지속적인 증상이 없는 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2019년 ACVIM에서 발표한 개의 MMVD 진단 및 .. 2023. 9. 17.